교회를 마음에 품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교회를 마음에 품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0)
    • 일상 (9)
    • 소그룹 (21)
    • 리더십 (0)
    • 책 소개 (25)
    • 과거를 통해 나를 보다 (1)
    • 친구들 (0)
    • 꿈꾸는 교회 (4)
    • 예화모음 (1)
    • 큐티 (19)

검색 레이어

교회를 마음에 품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미친 척 하는 다윗 (삼상21:1-15)

    2022.06.12 by 하늘 벗 나그네

  • 다윗을 사랑한 요나단 (사무엘상20:17)

    2022.06.10 by 하늘 벗 나그네

  • 여호와께서 다윗과 함께 계심을 사울이 보고 알았고(사무엘상18:28)

    2022.06.07 by 하늘 벗 나그네

  • 전쟁은 여호와께 속한 것인즉(삼상17:47)

    2022.06.05 by 하늘 벗 나그네

  • 이 말을 듣고 놀라 크게 두려워하니라(사무엘상 17:11)

    2022.06.03 by 하늘 벗 나그네

  •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 / 사무엘상16:7

    2022.06.02 by 하늘 벗 나그네

  • Win The Day 를 읽어가며

    2022.05.22 by 하늘 벗 나그네

  • 오렌지 컨퍼런스 2022

    2022.05.04 by 하늘 벗 나그네

미친 척 하는 다윗 (삼상21:1-15)

다윗은 자신을 죽이려는 왕이 두려웠다.(v 10) 다윗이 사울왕을 피하여 도망자가 되었다. ​ 도망하는 길에 놉에 가서 아히멜렉에게 요청하여 성전에 드려진 전설병을 먹었다. 그리고 급하게 도망나오느라 챙기지 못한 무기도 준비해다. 블레셋 장수 골리앗의 칼이 그곳에 있어서 그것으로 무장했다. ​ 도망하는 처지의 다윗을 아히멜렉 제사장처럼 모두가 도운 것은 아니다. 사울의 신하요 에돔사람인 도엑이 늑대의 눈을 가지고 모든 것을 지켜보고 있다. 또 다른 위험이 조만간 일어날 것이 암시고 있다. ​ 신앙인의 여정에 이런 위협이 없으면 좋으련만 우는 사자처럼 삼킬자를 찾는 마귀의 역사는 끝이 없다. ​ 다윗은 사울의 눈을 피하여 블레셋 가드왕 아기스에게 갔다. ​ 아기스 왕에게 신하들이 다윗을 조심해야 한다고 말..

큐티 2022. 6. 12. 00:28

다윗을 사랑한 요나단 (사무엘상20:17)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은 다윗을 죽이려고 혈안이 되어 있는데 사울의 딸 미갈은 다윗을 사랑하여 그의 아내가 되었고, 사울의 아들 요나단은 자기 생명을 사랑함 같이 다윗을 사랑했다. 사울의 왕가에서 보면 다윗은 제거해야만 하는 장애물이었다. 사울의 아들 요나단은 자신의 왕권이 다윗에게 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면서도 다윗을 사랑했다. 어떻게 이런 우정과 사랑이 생겨났는지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요나단은 어떤 사람인가? 단순한 대답은 사울의 아들이다. 사울을 이어 왕이 될 사람이다. 하지만 성경은 그를 하나님의 사람으로 소개하고 있다. 삼상 20장에 그가 한 말이 13절에 걸쳐 나오는데 여호와의 이름이 무려 9번이나 언급되었다. 사람의 말을 들으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고 하지 않았나..

큐티 2022. 6. 10. 23:25

여호와께서 다윗과 함께 계심을 사울이 보고 알았고(사무엘상18:28)

사람들은 하나님이 누구와 함께 하시는지를 알아본다. 평범한 사람들도 알아보지만 악한 사람들은 더 빨리 더 분명하게 알아본다.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싸우러 나오면 나올 때마다 다윗이 사울의 모든 신하들보다 더 지혜롭게 행하였다.(v30) 사람들이 하나님과 동행하는 사람들을 알아보는 이유는 어쩌다 한번 일어난 사건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싸우러 나오면 나올 때마다' 하나님은 다윗과 함께 하셨고 다윗은 하나님과 동행했다. 낙심 될 만 한 수많은 사건들과 소식들이 들려온다. 다윗도 그랬다. 사울이 시기하고 질투하여 그를 죽이려고 한다는 사실을 다윗도 알고 있었다. 백성들이 다윗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만큼 다윗의 질투와 분노도 증폭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성경은 그런 상황 가운데의 다윗의 심정을 그대로 기록해 ..

큐티 2022. 6. 7. 21:22

전쟁은 여호와께 속한 것인즉(삼상17:47)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각자 나름대로의 믿음을 가지고 있다. 돈, 명예, 지식, 네트워크, 등 사람들은 말로 이야기 하지는 않아도 자신이 의지하는 것 하나씩은 다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정말 의지하는 것을 더 확보하고 더 강화하려고 노력한다. 돈을 의지하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 사람은 돈을 더 소유하려고 노력한다. 때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돈을 더 갖게 되면 그만큼 더 큰 유익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사람을 의지하는 사람들도 있다. 사랑하는 여인만 있으면 다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사랑하는 여인이 인정해 주면 그 어떤 일도 할 수 있다. 자신의 행복을 여인에 걸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힘과 능력을 의지하는 사람들도 있다. 골리앗은 자신의 칼과 창과 자신의 힘을..

큐티 2022. 6. 5. 22:47

이 말을 듣고 놀라 크게 두려워하니라(사무엘상 17:11)

거인과도 같은 블레셋 군사 골리앗이 이스라엘을 협박하는 말을 듣고 사울과 온 이스라엘은 놀라고 크게 두려워 했다. 하나님의 백성은 오직 하나님만 두려워해야 하는데 뭔가 문제가 생긴 것이 분명하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이러한 문제는 인간의 타락한 본성에서 기인한다. 타락한 죄인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의지하기 보다 보이는 뭔가를 의지하기 원한다. 인간은 본질상 마음에 하나님을 두기를 싫어한다. 그 대신에 그들은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그 무엇인가를 얻기 위하여 고전분투하면서 살아간다.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그 무엇은 power에 관련된 것들이다. 권력, 재력, 지력, 체력 등이 이에 해당되는 것들이다. 많은 사람은 마음에 하나님 두기를 싫어하면서 스스로의 힘을 키우..

큐티 2022. 6. 3. 21:29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 / 사무엘상16:7

사무엘은 한나님 앞에서 실패한 사울왕을 뒤로하고 두번째 왕을 기름부으려 하고 있다. 이새의 첫아들 엘리압을 보고 사무엘은 '이 사람이구나' 생각했다. 하지만 하나님의 생각은 달랐다. 삼상 16장 7절 말씀은 하나님이 사람을 보는 기준과 사람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구절들 중에 하나다. 하나님은 사람들이 보는 것을 보지 않는다고 하셨다. 세상 사람들은 사람을 평가할 때 배경과 능력과 외모를 본다. 얼마나 좋은 배경과 인맥을 가졌는지, 그가 얼마나 탁월한 사람인지, 그리고 그가 얼마나 준수한 사람인지를 본다. 하지만 하나님은 사람의 중심을 볼 수 있는 분이기 때문에 오직 중심만 본다. 하나님은 사람의 생각과 감정과 의도를 보신다. 사람의 생각과 감정과 의도 외에는 보려 하지 않으신다. 그 ..

큐티 2022. 6. 2. 22:20

Win The Day 를 읽어가며

책 '써클 메이커'로 잘 알려진 마크 베터슨 목사님이 쓴 책이다. 큰 승리를 만들어내는 하루 하루의 일상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 책은 그 어떤 책보다 잘 설명해 냈다. 이 책은 소명을 따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반드시 무장되어야 하는 습관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제 한참 고등학생의 시절을 보내고 있는 아들에게~ 모든 것이 막막해 보이는 누군가에게~ 다시 한번 기본으로 돌아가 하나님께 촛점을 맞추고 살기를 원하는 누군가에게~ 아니 나처럼 이제 막 50대를 시작하는 누군가에게도~ 이 책의 일독을 권하고 싶다. 그가 소개하는 승리의 습관은 다음과 같다. - Flip the Script: Change your signature story. - Kiss the Wave: See the obstacle not as..

책 소개 2022. 5. 22. 03:49

오렌지 컨퍼런스 2022

오렌지 컨퍼런스 2022는 Be Human이라는 주제로 아틀란타 조지아에서 진행되었다. 1만명 정도가 모여서 탁월한 강사들의 메시지를 듣는 시간이었다. 찬양과 콘서트와 레크리에이션과 함께 컨퍼런스는 매우 짜임새가 있었다. 1. 컨퍼런스 초대의 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은 우리 모두에게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습니다. 우리는 그 어는 때보다 ‘인간에게는 연약함이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불과 몇 년 전 보다 더 고립되고 조심스럽고 회의적이고 두렵고 꺼려하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의 변화는 우리로 하여금 가장 안전한 곳을 찾도록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우리는 하나님께서 디자인하신 인간으로서의 삶을 포기하고 싶은 충동을 갖게 됩니다. 인간은 그 존재 자체가 엄청난 모순을 안..

일상 2022. 5. 4. 23:1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
TISTORY
교회를 마음에 품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